최근 이단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가 관심을 끌면서, 교회에 대한 사회적 오해와 불신과 냉소도 함께 깊어지는 양상이다. 교회는 교리적 이유로 정통과 이단을 비교적 명료하게 분류하지만, 사회는 아직도 이단 시비를 ‘교회 안의 밥그릇 싸움’ 정도로 평가하는 경향성이 여전히 짙다.
“나는 신이다”의 후폭풍이 불고 있다. 긍정적인 면은, 넷플릭스 방영 이후, 사이비 종교에 대한 경각심과 관심이 높아졌고, 정부의 법적 대응도 속도를 내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나고 있다. 즉 사회적으로 개신교에 대한 오해와 외면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원인제공자이자 가해자인 이단이 문제인데, 엉뚱하게도 교회가 피해자가 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거의 모든 이단들이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일반인들이 이름만으로 교회와 이단을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특히 문화행사나 사회봉사 등으로 ‘위장’하고, 자신들의 소속이나 교리에 대해서는 ‘거짓말’로 일관하는 이단들을 비기독교인들은 물론이고 기독교인들조차 분별하기 쉽지 않다.
한국교회는 “나는 신이다”로 인해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직면하고 있다. 이단의 위험성을 사회적으로 알리고 공감과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만약 교회가 비윤리적이고 비상식적인 행태를 노출한다면, 교회나 이단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너나 잘하세요!’라는 냉소적 비난을 받는 위기에 처할 수 있다.
교회의 자정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순전하고 정결한 교회가 이단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단의 범죄는 엄벌하고, 동일한 교회의 잘못에 대해 면죄부를 준다면, 이는 불공평하다. 정통이란 이름으로 행하는 비상식적·반사회적 범죄는 엄격한 잣대로 가중 처벌해야 한다. “나는 신이다”를 통해 그 정체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이비 신’들에게 효과적으로 응전하기 위해서, 교회의 정결함은 필수요건이다.
한편 이단대처의 중심축이 되어야 할 기독교연합기관들이 난립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사리사욕이나 자리다툼이 아닌, 그리스도를 위한 연합적 이단대처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전국 단위의 이벤트성, 언론 홍보성, 이단대처 퍼포먼스보다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실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이단예방과 대처 활동이 필요하다.
아베신조 전 총리 피격살해 사건 이후 일본 정부 차원에서 운영 중인 ‘피해자신고센터’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이단 피해를 지원하기 위한 ‘원스톱 이단피해 지원 및 신고센터’의 설치와 운영에 대해 신중히 고려해야 할 때가 되었다. 사이비종교 피해자가 신고를 해 오면,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형사적, 법률적, 심리적, 신앙적 지원을 필요에 따라 지원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
이단사이비 문제는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한국사회를 뒤흔든 사건들 중에서, 사이비종교와 관련되지 않은 사건을 찾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단사이비에 대처하는 교회의 노력은, 이제 우리나라를 지키는 일이 되었다. ‘사이비 신들의 세상’을 와해시킬 수 있는, 교회의 강력한 한 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