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지도자의 공통된 마음은 교회가 부흥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어디 지도자만 그렇겠는가? 모든 교인들의 마음이 그렇다. 그런데 마음은 그런데 실제는 교회의 부흥을 가로막는 주역이 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누구도 생각하지 않고 교회 생활을 한다.
우연한 기회에 식당에서 옆 식탁의 세 사람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얼굴이 화끈거려 고개를 들 수 없는 일을 경험했다. 주고받는 이야기가 속닥거리는 것이 아니라 옆 식탁 손님들이 다 들을 수 있을 정도의 큰 소리이기도 했지만, 그 대화 내용이 교회를 비판하는 것이었다. 목사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한 사람으로서 민망하고 부끄러움을 감출 수 없었다.
“야, 너 그 ○○ 잘 알지? 그게 장로야? 그 ○○ 보기 싫어 나 그 교회 안 나간다. 목사란 양반도 똑같아. 그런 ○○ 비위나 맞추고 있으니 그게 목사야? 교회가 결국 그 모양이 되는 거 아냐?” “야 임마, 목소리 낮추어라. 그래도 너도 그 교회 교인인데 그러면 되니?” “나 그 교회 안 나간다니까.” “그래도 인마 너도 예수쟁이잖아.”
웬만한 포항시민이면 나를 알아 볼듯한데 그분들은 나를 알아보지 못하는지, 아니면 알기에 일부러 들으라고 하는 소리인지 모르지만 마치 내가 도둑질이라도 하다 들킨 것처럼 그냥 앉아 듣기 힘든 대화를 들으면서 밥 한 그릇 먹는 것이 그리도 힘들었던 경험이 있었다. 그 대화의 주인공이 누군지 알기에 식사를 대접하는 집사님의 얼굴도 어찌할 바 몰라 당황한 표정이었고 차 한잔 마실 겨를도 없이 훌훌 털고 식당을 나왔었다.
“교인을 내쫓는 교회, 그리고 목사와 장로”
식당을 나와 하늘을 올려다보는 마음이 허허벌판에 선 느낌이었다.
오래전 메가스터디 엠베스트 김성오 대표의 저서 <육일약국 갑시다>를 읽었다. 마산에서 전국 최소 약국, 최소평수인 4.5평의 약국을 <육일약국>이라는 간판을 달고 3년 동안 약국 이름 알리기 위해 택시만 타고 “육일 약국 갑시다.”를 외쳐 마산의 랜드마크로 만들어 내었고, 1조 원 매출 기업의 CEO가 된 감동스토리는 아직도 내 가슴에 남아 있다. 지금은 서울 대방교회 장로로 전국을 다니면서 말씀 사역도 하면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있는 장로님이다.
우리교회는 일찍이 6월이면 한 주일 택시타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전 교인이 그 주일은 택시를 타고 교회로 오는 운동인데 교회 알리기, 택시기사와의 관계 맺기를 통한 간접 전도인만들기 등 다양성을 갖고 있다. 김성오 장로님이 3년여 동안 택시 타고 “육일약국 갑시다.”를 외쳐 마산의 랜드마크를 만들어 낸 것은 우리교회 택시타기주일 운동과 너무나도 맥을 같이 하는 것이 더욱 마음에 닿았다. 포항중앙교회의 택시타기주일 운동은 20여 년이 되어간다. 우리교회 택시타기 주일 운동은 기업경영, 교회부흥, 개인 성공의 신화의 물줄기가 되어 전국 온 세계에 잘 알려지고 있다.
김성오 장로님의 성공비결은 아주 간단했다. 약국 경영을 할 때 “우리 가게에 온 손님이 만족할까? 다음에 또 올까? 다음에 올 때는 다른 사람까지 데리고 올까?”라는 평범한 자문(自問)을 하면서 그는 오는 손님에 대한 마음자세가 다시 오게 하였고 그것은 최고의 경영철학을 정립하게 되었던 것이다.
기업경영을 하든 식당을 경영하든 작은 가게를 경영하든 성공철학의 공통점이 있다. 찾아오는 손님들을 천사처럼 여기는 마음이다. 김성오 장로님처럼 자신이 서울대학교 약대를 졸업한 약사라는 것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손님을 통해 모든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고백을 했다. 즉 손님이 만족할까? 또 올까? 또 올 때 다른 사람을 데리고 올까? 이것은 성공 경영철학의 교과서라고 할 것이다.
교회 성장도 똑같다. 사람들을 오게 하는 교회가 있고 사람들을 내쫓는 교회가 있다. 교회에 오는 사람들이 행복한 사람이든 건강한 사람이든, 아픈 사람, 힘든 사람, 외롭고 지친 사람이든 교회에 올 때 그들을 품어 안고 함께 기뻐하고 아파하고 위로할 수 있는 교회는 오는 사람을 만족하게 하고 다시 오게 하고, 다시 올 때는 다른 사람까지 데리고 오게 한다. 그것이 부흥하는 교회, 가고 싶은 교회, 머물고 싶은 교회다.
목사가 싫어서 장로가 싫어서 교회를 떠난다는 식당에서 넋두리처럼 쏟아낸 그 사람의 말이 머리에서 지워지지 않았다. 교회 부흥을 입버릇처럼 말하면서 걸핏하면 불평하고 원망하고 비판하는 지도자를 보는 평신도들은 오늘도 말없이 교회를 떠나고 있다. 우리교회는, 그리고 나는 어떤가? 교회 부흥을 외치면서 교인을 내어 쫓는 그 험악한 대화의 주인공은 아닌가? 다리가 후들거리고 가슴이 떨린다.
우연한 기회에 식당에서 옆 식탁의 세 사람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얼굴이 화끈거려 고개를 들 수 없는 일을 경험했다. 주고받는 이야기가 속닥거리는 것이 아니라 옆 식탁 손님들이 다 들을 수 있을 정도의 큰 소리이기도 했지만, 그 대화 내용이 교회를 비판하는 것이었다. 목사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한 사람으로서 민망하고 부끄러움을 감출 수 없었다.
“야, 너 그 ○○ 잘 알지? 그게 장로야? 그 ○○ 보기 싫어 나 그 교회 안 나간다. 목사란 양반도 똑같아. 그런 ○○ 비위나 맞추고 있으니 그게 목사야? 교회가 결국 그 모양이 되는 거 아냐?” “야 임마, 목소리 낮추어라. 그래도 너도 그 교회 교인인데 그러면 되니?” “나 그 교회 안 나간다니까.” “그래도 인마 너도 예수쟁이잖아.”
웬만한 포항시민이면 나를 알아 볼듯한데 그분들은 나를 알아보지 못하는지, 아니면 알기에 일부러 들으라고 하는 소리인지 모르지만 마치 내가 도둑질이라도 하다 들킨 것처럼 그냥 앉아 듣기 힘든 대화를 들으면서 밥 한 그릇 먹는 것이 그리도 힘들었던 경험이 있었다. 그 대화의 주인공이 누군지 알기에 식사를 대접하는 집사님의 얼굴도 어찌할 바 몰라 당황한 표정이었고 차 한잔 마실 겨를도 없이 훌훌 털고 식당을 나왔었다.
“교인을 내쫓는 교회, 그리고 목사와 장로”
식당을 나와 하늘을 올려다보는 마음이 허허벌판에 선 느낌이었다.
오래전 메가스터디 엠베스트 김성오 대표의 저서 <육일약국 갑시다>를 읽었다. 마산에서 전국 최소 약국, 최소평수인 4.5평의 약국을 <육일약국>이라는 간판을 달고 3년 동안 약국 이름 알리기 위해 택시만 타고 “육일 약국 갑시다.”를 외쳐 마산의 랜드마크로 만들어 내었고, 1조 원 매출 기업의 CEO가 된 감동스토리는 아직도 내 가슴에 남아 있다. 지금은 서울 대방교회 장로로 전국을 다니면서 말씀 사역도 하면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있는 장로님이다.
우리교회는 일찍이 6월이면 한 주일 택시타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전 교인이 그 주일은 택시를 타고 교회로 오는 운동인데 교회 알리기, 택시기사와의 관계 맺기를 통한 간접 전도인만들기 등 다양성을 갖고 있다. 김성오 장로님이 3년여 동안 택시 타고 “육일약국 갑시다.”를 외쳐 마산의 랜드마크를 만들어 낸 것은 우리교회 택시타기주일 운동과 너무나도 맥을 같이 하는 것이 더욱 마음에 닿았다. 포항중앙교회의 택시타기주일 운동은 20여 년이 되어간다. 우리교회 택시타기 주일 운동은 기업경영, 교회부흥, 개인 성공의 신화의 물줄기가 되어 전국 온 세계에 잘 알려지고 있다.
김성오 장로님의 성공비결은 아주 간단했다. 약국 경영을 할 때 “우리 가게에 온 손님이 만족할까? 다음에 또 올까? 다음에 올 때는 다른 사람까지 데리고 올까?”라는 평범한 자문(自問)을 하면서 그는 오는 손님에 대한 마음자세가 다시 오게 하였고 그것은 최고의 경영철학을 정립하게 되었던 것이다.
기업경영을 하든 식당을 경영하든 작은 가게를 경영하든 성공철학의 공통점이 있다. 찾아오는 손님들을 천사처럼 여기는 마음이다. 김성오 장로님처럼 자신이 서울대학교 약대를 졸업한 약사라는 것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손님을 통해 모든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고백을 했다. 즉 손님이 만족할까? 또 올까? 또 올 때 다른 사람을 데리고 올까? 이것은 성공 경영철학의 교과서라고 할 것이다.
교회 성장도 똑같다. 사람들을 오게 하는 교회가 있고 사람들을 내쫓는 교회가 있다. 교회에 오는 사람들이 행복한 사람이든 건강한 사람이든, 아픈 사람, 힘든 사람, 외롭고 지친 사람이든 교회에 올 때 그들을 품어 안고 함께 기뻐하고 아파하고 위로할 수 있는 교회는 오는 사람을 만족하게 하고 다시 오게 하고, 다시 올 때는 다른 사람까지 데리고 오게 한다. 그것이 부흥하는 교회, 가고 싶은 교회, 머물고 싶은 교회다.
목사가 싫어서 장로가 싫어서 교회를 떠난다는 식당에서 넋두리처럼 쏟아낸 그 사람의 말이 머리에서 지워지지 않았다. 교회 부흥을 입버릇처럼 말하면서 걸핏하면 불평하고 원망하고 비판하는 지도자를 보는 평신도들은 오늘도 말없이 교회를 떠나고 있다. 우리교회는, 그리고 나는 어떤가? 교회 부흥을 외치면서 교인을 내어 쫓는 그 험악한 대화의 주인공은 아닌가? 다리가 후들거리고 가슴이 떨린다.
ⓒ 한국기독신문 & 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