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5(금)
 


박용성 목사2.jpg

우리의 일상생활에 ‘생필품’이란 말이 있다. 말 그대로 생활 필수품을 말한다. 우리에게 물, 전기, 쌀, 소금, 설탕, 기름, 돈 등은 생활 필수품이다. 이것이 없이는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기가 힘들다. 요즘에 와서 이런 것보다 ‘핸드폰’이 얼마나 더 중요하게 생각되는지, 많은 사람들은 잘 때도 핸드폰을 손에 꼭 붙들고 살아간다. 스마트폰 없는 인생은 생각할 수도 없는 듯이 말이다.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침대는 과학입니다.’ 카피처럼 ‘스마트폰은 휴대폰이 아닙니다. 스마트폰은 생필품입니다.’ 이렇게 바뀔지 모르겠다. 실제로 따지고 보면 핸드폰 없이도 살 수 있다. 그것은 우리의 생활을 많이 편리하게 해주지만, 그것 없다고 목숨이 위태로운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핸드폰이 얼마나 중요한지, 눈만 뜨면 스마트폰을 보는 것이 일상이 될 정도이다. 핸드폰은 꼭 필요한 물품은 아니다.

 

이제 3월이면 학생들이 개학을 한다. 학교 생활하는 데에도 꼭 필요한 것이 있다. 우리 학생들이 학교 생활을 감당하기 위한 필수품은 무엇인가? 필수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사도 바울은 성경의 서신서에서 우리에게 있어야 할 필수품을 언급한 적이 있다. 고린도전서 13장 13절 말씀이다.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 로마서 12장 9절에서 13절에도 이와 비슷한 원리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세상 속에서 그러니까 성도들 사이에서 어떤 자세로 살아야 할 것에 대해서 말해주고 있는 본문이다. 얼핏 보면 약 12가지 정도의 내용이 보인다. 그러나 정리하면 세 가지 정도로 그룹을 나눌 수 있다. 그것은 곧 사랑, 믿음, 그리고 소망이다. 이것은 우리의 교회 생활과 사회생활, 직장생활, 학교생활에 반드시 있어야 할 필수적인 덕목이다. 다른 말로 하면 생필품이 없으면 우리가 정상 생활을 할 수 없듯이, 이런 필수적인 삶의 요소가 없으면 우리의 생활은 정상적일 수 없음을 말하고 있다.

 

먼저, 학교생활의 생필품과 같은 것은 사랑이다. 로마서 12장 9절과 10절은 ‘사랑에는 거짓이 없나니 악을 미워하고 선에 속하라’,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 존경하기를 서로 먼저 하며’라고 기록한다. 사도 바울은 먼저 사랑할 것을 이야기한다. 단순히 ‘사랑하라’가 아니다. 어떤 사랑을 감당해야 할지를 말하고 있다. 참된 사랑을 말한다. 참된 사랑이라는 것은 거짓이 없어야 하는 것 곧 위선적이지 않은 것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먼저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는데 그것은 악을 미워해야 하고, 선에 속하기를 애써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에 속한 행동이 어떤 것인지를 바울은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곧 서로 형제 사랑으로 서로에게 헌신하는 일, 서로를 존경하기를 먼저 하는 일이다. 우리 성도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먼저 드러나야 하는 일은 ‘진실한 사랑’이다. 감추려고 하거나 거짓 사랑은 결국은 드러나게 된다. 그 행 한대로, 마음과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 앞에 다 드러나서 부끄러움을 당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서로를 진실로 사랑하시기 바란다. 친형제 사랑하듯 대하고, 최선을 다해서 주님을 사랑하듯이 모두를 진실로 사랑하시기 바란다.

 

두 번째, 학교생활의 생필품은 믿음이다. 로마서 12장 11절은 ‘부지런하여 게으르지 말고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라고 기록한다. 방학을 맞이하여 각종 수련회를 통해 많은 은혜를 받았을 것이라 확신한다. 그렇다면 개학을 앞둔 우리 청소년들이 학교에서도 이 믿음과 은혜를 버리지 말고, 열심을 품고 주를 섬겨야 한다. 11절은 우리에게 믿음이 무엇인지 분명히 말한다. 믿음은 주를 섬기는 일이다. 주를 섬기는 일에도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열정을 다해 온 영을 다해 주님을 섬기라’라는 것이다. 우리 다음 세대들이 학교 생활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바로 주님에 대한 강력한 믿음을 가지고 주님을 섬기는 것이다. 그럴 때에 하나님의 나라는 든든히 서고, 하나님은 우리를 통해 영광을 받으신다. 주님을 믿고 오직 그를 신뢰하시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교회 생활의 필수는 소망이다. 바울은 학교생활에서 힘써야 할 것을 ‘소망’에 집중시킨다. 우리 기독교의 신앙은 ‘현재성’이 있는 신앙이다. ‘오늘, 여기서 나를 통해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고, 하나님의 능력과 인도로 승리하는 그런 살아있는 참 종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우리의 최종 종착점은 여기가 아니다. 죄 많은 이곳, 멸망 받을 이곳이 우리의 영원한 안식처가 아니다. 그러면 이런 소망을 가지고 사는 사람은 이 세상에서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하나? 사도 바울은 이런 의미에서 우리에게 반드시 있어야 하는 소망을 가지고 사는 성도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말하고 있다. 로마서 12장 12절과 13절 말씀은 ‘소망 중에 즐거워하며 환난 중에 참으며 기도에 항상 힘쓰며’ ‘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라고 기록한다. 소망을 가진 자는 환란 중에 참고, 기도에 힘쓰고, 이웃 성도를 공급하고 손 대접하기를 힘쓰는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소망이 있는 삶인가? 그 증거는 무엇인가? 우리 속에 있는 소망을 보여주시기 바란다. 소망 중에 즐거워하고 환란 중에 참으며 기도에 항상 힘쓰며 손 대접하기를 애쓰시는 모습이 바로 우리 속에 있는 소망을 보여주는 것이다.

 

 

 

 

3월에 개학하는 모든 다음 세대에게 당부한다. 사도 바울이 소개한 생필품 사랑과 믿음과 소망을 소유하고 승리하는 학교생활이 되길 기대한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다음세대칼럼] 학교생활의 생필품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