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신년 조찬 모임에서 한 목사님이 짧은 인사말 속에 흥미로운 이야기를 하나 들려주셨습니다. ‘카나리아’라는 새에 관한 것이었는데, 알고 보니 무척 유명한 이야기였습니다. 옛날 광부들이 작업할 때면 이 카나리아를 데리고 광산 안으로 들어갔다고 합니다. 공기나 호흡에 무척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단 카나리아가 어떤 새인지 찾아보았더니 미국의 워너브라더스사가 자랑하는 캐릭터인 ‘트위티(Tweety)’의 실제 모델이었습니다. 크기는 15cm 내외로 수명은 12~15년 정도이며, 사람 손에 길러진 지가 400년이 넘는답니다. 분당 호흡수가 60~80회요(사람은 12~20회) 심장 박동수는 분당 300회에서 많게는 1,000회까지라(사람은 60~100회), 폐에서 기체 교환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므로 인해 호흡 효율이 100%(사람은 30%) 가까운 생명체입니다. 대기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금방 반응을 보인다는 뜻입니다. 광부들이 애지중지했던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야말로 카나리아 같은 존재가 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세상이 얼마나 오염되고 혼탁한지 알게 해 주는 척도(尺度) 역할을 감당하는 그런 존재 말입니다. 이미 성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마 5:13, 14)고 하셨습니다. 어딘가 혹은 무언가에 뿌려져서 그곳 혹은 그것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존재라는 뜻이겠지요. 온통 캄캄한 어둠뿐인 어딘가 혹은 무언가를 비추어서 그곳 혹은 그것에 뭐가 있는지 어떻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존재라는 의미겠지요. 카나리아는 광부들의 건강을 지켜주고 때로 목숨을 구해주었습니다. 그렇다면 교회 역시 세상을 대해 그런 역할을 감당해야 마땅하지 않겠습니까?
현실은 어떨까요? 예수께서는 이어서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고 하셨습니다. 당시 하나님의 백성을 자처하는 자들은 맛을 잃어버린 소금이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입니다. ‘사마리인의 비유’(누가복음 10장)를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강도 만난 사람이 피를 흘리며 길가에 쓰러져 있는데 아무도 돌봐주지 않는 모습입니다. 지나가는 사람 중에는 제사장도 있었고 레위인도 등장합니다. 지도자만 그런 것도 아니었습니다. 불의한 권력자였던 헤롯이 아무리 악독한 일을 자행해도 그러면 안 된다고 용감하게 외치는 자가 없었습니다. 우상숭배가 만연하고 참된 경건이 실종되었어도 자복하고 통회하며 회개를 부르짖는 자들은 극소수에 불과했습니다. 거룩해야 하는 성전을 장사꾼의 소굴로 만들어 놓은 자들에 당당하게 맞서서 그 불의한 권세에 도전하는 자들이 없었습니다.
우리는 어떠합니까? 사람들은 더 이상 말씀 듣기를 사모하거나 말씀의 권위 앞에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세상의 학문과 특히 발달한 과학은 성경의 가치를 폄하하고 경시하는 경향과 풍조를 양산합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진중하게 열정을 쏟아 기도하지 않습니다.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모습을 발견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습니다. 경건이 사라지는 오늘날 교회가 맞이한 가장 두려운 이 위기 앞에서 우리는 어떤 역할을 감당하고 있나요? 각종 우상이 오직 하나님만 송축하고 경배하는 신앙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무속이 판을 치고 사이비 신앙이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는 세상입니다. 거짓의 영들이 횡행하며 거짓 선지자 같은 무리들이 미쳐 날뛰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상숭배를 지적하고 사이비들을 향해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이 없습니다. 정의와 공법 대신 불의와 무법이 강물 같이 흐르고 공정과 상식 대신 불공정과 몰상식이 폭포수 같이 밀려와도 대항하는 사람을 찾기 어렵지 않습니까?
옛날 광부들이 탄광에 들어갔을 때 카나리아가 울지 않으면 뛰쳐나와 목숨을 구했다고 합니다.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했다는 의미였기 때문입니다. 만일 교회가 울지 않는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세상의 숱한 영혼들이 영적 생명을 잃지 않겠습니까? 만일 교회가 피리를 불지 않는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수많은 사람들이 멸망의 낭떠러지를 향해 그대로 나아가지 않겠습니까? 새해에는 정말 그리스도인라면 신령한 카나리아가 되어 세상을 깨우는 노래를 부릅시다. 신령한 카나리아가 되어 수많은 영혼이 깨어나도록 실컷 울어줍시다. 그래서 사람들의 진짜 목숨을 살리는 교회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그래서 세상 사람들이 정말 예뻐하고 사랑하는 그런 성도의 모습을 되찾는 해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