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들은 인류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나라를 로마라고 한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까지 3개 대륙에 걸쳐 가장 광활한 영토를 지배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법이나 통치체제, 도로와 사회기반이 잘 갖춰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게 1,000여년을 흥왕하던 로마가 어느 시점부터 쇠퇴하기 시작하다가 결국 멸망했다. 역사학자들의 오랜 관심사 가운데 하나가 이 로마 제국의 멸망 원인을 찾는 것이다. 영국의 역사학자가 로마 멸망 원인을 ‘인구감소’라고 하였다. 로마가 제국이 되어 당시 세계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로마인들은 안락한 삶을 살았다. 고통스럽게 아이를 낳아서 육아하는 일을 꺼리게 되었고, 쾌락에 빠져들었다. 다음 세대를 세우는 일을 등한히 하게 되었다. 그래서 점차 노동력이 줄어들게 되었고, 노예들로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그리고 군대에 나갈 사람이 줄어들자 당시 야만족이었던 게르만족을 용병으로 고용했다. 그래도 안 되겠다 싶어서 국가가 강력하게 출산정책을 썼다. 결혼을 의무화하고 자녀를 낳지 않는 것을 법으로 금했다. 그리고 38세 이상 독신자들에게 세금을 거두었다. 게다가 3자녀 이상의 가정에 큰 혜택을 주었다. 그러나 저출산을 막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로마인의 비율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리고 결국, 야만인이었던 게르만족에게 정복당하게 되어 멸망하게 되었다.
안타깝게도 오늘 우리나라가 이런 전철을 밟기 시작했다. 실제로 통계청 발표를 보면 상황이 심각하다. ‘2023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023년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24만9200명)보다 1만9200명(7.7%↓)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2015년 이후 8년 연속으로 줄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2015년(0.7%)을 제외하고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인 것으로, 2013년 43만6000명을 넘던 출생아 수는 감소세를 지속해 10년만에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합계 출산율은 0.72명이다. 2022년 0.78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나, 1년 만에 0.06명 감소해 ‘바닥의 바닥’을 보여준 것이다. 문제는 이런 인구절벽은 앞으로 더욱 가파르게 나타나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앞으로 노년 세대가 급증하게 될 것이고, 출산율은 점점 더 떨어져서 노령화가 가속될 것이다. 결국, 각종 경고가 말해주듯 나라가 소멸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한 것 같아서 보통 걱정이 아니다.
그런데 한국교회 상황은 이것보다 더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다음 세대가 지난 10년 동안 20%가 감소했는데, 교회의 다음 세대는 35%가 감소했다는 통계를 접한 적이 있다. 무려 15%나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25년 뒤인 2050년에 21세 이하의 연령층은 총인구가 1485만 명에서 932만 명으로 오늘과 비교해서 37%가 감소한다고 한다. 이에 비해 21세 이하 교인은 318만 명에서 111만 명으로 무려 65%가 감소할 것이다. 그러니까 앞으로 25년 뒤에 교회 내의 21세 이하의 교인은 무려 2/3가 줄어들 것이다. 요즘 필자는 25년 뒤의 한국교회의 미래를 상상해 본다. 우선 대부분의 교회가 노인들만 남게 될 것이다. 교회학교가 있는 교회가 열 교회 중에 두 세개 정도 밖에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많은 교회당이 텅 빈 채로 예배를 드리게 될 것이다. 주변에서 문 닫는 교회들을 어렵지 않게 보게 될 것이고, 교회 건물이 팔려서 다른 용도로 쓰이는 교회도 등장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우리 교회가 이런 교회가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앞으로도 여전히 오늘처럼 좋은 교회로 든든히 서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답은 분명하다. 다음 세대를 세우는 일을 잘하는 것이다. 교회학교가 감소하지 않게 지켜내고, 가정의 자녀들을 믿음으로 잘 양육하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가 다음 세대를 믿음의 세대로 세워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 오늘 우리 자녀들이 살아가는 교육환경을 보면 안타깝다. 우리 자녀들은 한 주 168시간 동안 세상의 이야기를 주로 듣는다. SNS나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를 통해서, 그리고 학교에서 수업과 친구를 통해서 하나님과 무관한 세상 정보와 지식에 노출되어 있다. 단지 1시간 교회에 와서 말씀을 듣는다. 1/168의 이 열악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신앙을 지켜갈 수 있나? 우리 부모들이 나서야 한다. 집에서 부지런히 말씀을 듣게 해주어야 한다. 가정예배, 베갯머리교육, 밥상머리교육, 자녀와 대화 등으로 말씀을 듣게 해 주어야 한다.
신명기 6장은 자녀들이 말씀을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고 미간에 붙여 표로 삼고 또 네 집 문설주와 바깥문에 기록하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문설주에 메주자(문설주)라는 것을 달아놓아서 자녀들이 집에서 나갈 때 말씀을 읽고 나가게 했다. 그리고 손과 머리에 테필린이라는 것을 부착하게 해서 어디에 있든지 말씀을 읽을 수 있게 했다. 부모들이 말씀 교육에 최선을 다한 것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들이 성적이 떨어지거나 공부하는 것을 힘들어하면 학원이나 과외를 통해 보충해 준다. 그런데 신앙생활에 어려움을 당한다고, 신앙교육을 위해 과외하는 부모는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교회의 소망은 다음 세대이다. 이 악하고 패역한 세상 속에서 우리 자녀들과 교회의 다음세대를 믿음의 세대로 양육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행여라도 우리 다음 세대가 믿음을 잃어버리지 않을까 하는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다음 세대들에게 말씀을 부지런히 가르쳐야 한다. 주님께서 맡겨주신 다음 세대를 믿음으로 말씀으로 잘 세워가는 한해가 되길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