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는 2024년 한국교회에 발생했던 다양한 사건 등을 종합하여 ‘한국교회 10대 뉴스’를 발표한다. 10대 사건의 선정은 본보 기자들의 주관적 의견과 본보 홈페이지(www.kcnp.com) 조회수 등이 반영된 결과 임을 밝혀둔다.
1. 교계 단체들 대통령 퇴진 요구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교계 각 교단 및 기관들의 시국선언 및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다. 13개 교단 목회자협의체로 구성된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대표회장 지형은 목사, 이하 한목협)를 비롯해 기윤실, 한국YWCA연합회, NCCK, 감리교신학대 교수와 기독교한국루터회, 대한성공회 최고 의결기관인 주교원도 윤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촉구했다.
2. 한국교회 200만 연합예배
‘한국교회 200만 연합예배’가 종교개혁 507주년 기념일인 10월 27일 오후 서울시청 및 광화문 일대에서 주최측 집계 110만 명, 온라인 100만 명 등 총 210만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이날 성도들은 교회의 사회적 역할을 다짐하며, 함께 신앙 공동체로서의 결속을 재확인했다.
3. 통합 김의식 총회장 불륜 논란
예장통합 총회장 김의식 목사의 불륜 스캔들이 온라인에서 드러났다. 지난 2023년 7월 8일 무인텔에서 교인들에게 발각된 김의식 목사. 이후 교회는 안식년을 부여했고 김 목사는 총회장이 됐다. 교단을 대표하는 총회장의 도덕적 타락을 짚으며, 총회장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총회 개회를 위해 김의식 총회장이 등장하자 몸으로 막는 등 몸싸움도 일어났다.
4.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 ‘완연한 회복세’
2024년 6월 현재 개신교인들의 교회 주일 현장 예배 참석률은 어느 정도일까? 코로나19 초기 시점인 2020년 4월 조사에서는 ‘출석교회 현장 예배’가 14%에 그쳤으나 그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져 가장 최근 조사인 2024년 6월에는 79%로 8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출석교회 온라인 예배’는 2020년 절반(52%)에 달했다가 2024년 현 시점에는 한 자리수까지(9%)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침례교 초유의 사태(총회장 이어 부총회장까지 직무정지)
침례교단에서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금년 초 총회장 이종성 목사가 선거법 위반 혐의로 직무집행이 정지된 데 이어 직무대행을 맡았던 제1부총회장 홍석훈 목사도 지난 4월 30일 법원에 의해 직무가 정지됐다. 지도부 공백 사태를 맞은 침례교단은 정기총회까지 김일엽 총무 대행 체제로 진행됐다.
6. 기독교사학 김천대 이단 구원파 손에 넘어가
기독교 사학인 김천대가 구원파 박옥수가 설립한 기쁜소식선교회에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23일 김천대 법인이사회는 강신경(1929~2019) 목사의 딸인 강성애 이사장과 윤옥현 총장 등 이사 전원이 사임했으며 IYF 설립자 박옥수씨 등 8명이 새 이사로 선임하기로 결의했다.
7. 10만명 운집, ‘98해운대 성령 대집회’
부산성시화운동본부(이사장 이규현 목사, 본부장 박남규 목사)가 주최한 9.8 해운대성령대집회가 ‘일어나라 함께 가자!’라는 주제로 개최했다. 이날 폭염경보가 내린 날씨 속에서도 부산지역 1800여 교회 약 10만명(주최측 추산)이 모여 뜨겁게 기도했다. 강사는 이찬수 목사(분당우리교회)와 류정길 목사(제주 성안교회)가 맡아 말씀을 전했다.
8. 부산지역 부활절연합예배 5년 만에 함께 드려
부산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강안실 목사)와 부산교회총연합회(대표회장 문동현 목사), 부산교회희망연합(총재 김문훈 목사), 부산성시화운동본부(본부장 박남규 목사)가 공동으로 주최한 부산지역 부활절연합예배는 지난 3월 31일 오후 3시 경성대학교에서 개최됐다. 이날 부활절연합예배에는 약 6천여명의 성도들이 참석했고 5년 만에 함께 연합해 드렸다.
9. 20대 개신교인, 최근 10년간 절반 넘게 감소
우리나라 개신교인 비율을 인구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18%로 남성(15%)보다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개신교인의 비율도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특히 20대 개신교인 비율은 9%로 최근 10년 사이 절반 넘게 감소했고, 30대의 비율(11%) 역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20·30대 중 개신교인의 비율은 해당 연령대의 10명 중 1명 정도인 셈이다.
10. 부산트리축제 관련자 3명 벌금 및 집행유예
부산크리스마스트리축제와 관련해 실무자 3명이 1심에서 벌금 및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지난 4월 17일 부산지방법원(형사 17단독, 목명균 판사)은 업무상 횡령과 지방재정법 위반, 사문서 위조⦁행사 혐의로 당시 행정국장 A(목사)씨에게 벌금 150만원, 행정실장 B씨에게 징역 6월과 집행유예 1년을, 시행사 대표 C씨(장로)에게 징역 3월과 집행유예 1년을 각각 선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