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연구] 예수 그리스도가 나시기까지
마태복음 1장 12~16절
예수님께서 탄생하신 일은 즉흥적인 일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가장 오래 준비하시고, 가장 큰 사랑이 담은 최고의 선물로 세상에 오셨습니다. 갈라디아서 4장 4절은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라고 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오실 때를 정하신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께서는 복음을 위한 최적의 때에 예수님을 보내셨습니다. 그때가 최적기였던 이유에 대해 학자들은 여러 가지로 설명했습니다. 우선 세계 언어인 헬라어가 있어서 언어의 장벽 없이 복음을 전할 수 있었습니다 또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처럼 발달된 육상, 해상 교통로를 이용하여 전도자들이 빨리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로마가 이룩한 평화, 소위 로마의 평화(Pax Romana)로 인해 복음 전도자들이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방에 흩어진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회당을 세우고 살았기 때문에 이방인들은 하나님에 대한 전 이해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이방인들이 쉽게 복음을 이해하도록 도왔습니다. 이런 조건들은 예수님께서 가장 적절할 때 탄생하셨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께서는 때를 정하셨을 뿐만 아니라, 예수님을 보내시기 위해 정말 오래 전부터 준비하셨습니다. 이사야 7장 14절은 예수님의 동정녀 탄생을, 미가서 5장 2절은 예수님의 베들레헴 탄생을, 스가랴 9장 9절은 나귀 새끼를 타시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것을, 이사야 53장 5절은 예수님의 수난이 우리를 위한 것임을 미리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신 그 모든 것을 조금의 착오도 없이 정확하게 성취하셨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그 모든 하나님의 계획을 이루시고, 십자가 위에서 <다 이루었다>고 선언하심으로 복음이 완성되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한 구원의 프로젝트를 추진하시는 가운데 사람들이 쓰임을 받았습니다. 마태복음 1장은 소위 예수님의 족보를 말씀합니다. <아브라함은 이삭을 낳고>로 시작한 족보는 마태복음 1장 16절에서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에 이르고 있습니다. 드디어 예수님께서 탄생하셨습니다. 그런데 아브라함에서 시작하여 예수님의 탄생까지 이어오는 과정에 많은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이들의 역할은 <낳고>에 있습니다. 그들은 자녀를 낳아서 다음 세대로 이어갔습니다.
더구나 자녀를 낳아 키우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낳는 일>은 계속되었습니다. 1장 12절은 이렇습니다.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에 여고냐는 스알디엘을 낳고 스알디엘은 스룹바벨을 낳고> 남 왕국 유다는 바벨론에게 멸망했는데, 주전 597년에 바벨론의 2차 침략이 있었고, 그때 불과 십팔 세이던 여호야긴 왕이 폐위되어 끌려가고, 숙부인 시드기야가 왕이 되었습니다. 여호야긴이 12절의 <여고냐>입니다. 그는 왕위를 잃고 바벨론으로 끌려간 그 참혹한 상황에서도 스알디엘을 낳았습니다. 요즘도 여러 어려움 때문에 결혼을 하지 않고, 결혼을 해도 자녀를 낳지 않는 사람이 많은 것을 생각하면, 나라가 멸망하는 와중에, 포로가 된 사람이 자녀를 낳아 다음 세대로 이어갔다는 것은 정말 끈질긴 집념을 보여줍니다. 그 <낳고>가 없었다면, 예수님에게까지 이어지지 못했을 것입니다. 더구나 스알디엘은 스룹바벨을 낳았는데, 스룹바벨은 바사의 고레스 왕이 유다 백성의 귀환을 허락했을 때, 백성의 인솔자인 총독이 되어 예루살렘에 돌아왔고, 무너진 성전을 재건했습니다. 그래서 두 번째 성전을 스룹바벨 성전이라 부릅니다. 그러므로 여고냐가 스알디엘을 낳고, 스알디엘이 스룹바벨을 낳은 <집념어린 이어감>이야말로 정말 위대한 싸움이었다고 하겠습니다.
오늘 우리도 매우 어려운 신앙 환경을 맞고 있습니다. 교회와 신앙의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믿음생활이 점점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와 세계가 온통 혼란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그렇더라도 우리는 낙망하지 말고, 오늘 낳아야 할 것을 낳아야 합니다. 자녀를 낳고, 믿음의 열매를 낳아야 합니다. 우리 대에서 끊어지면 안 됩니다. <낳고, 또 낳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영적 싸움입니다. 끝까지 인내하며 우리 시대의 몫을 감당하길 원합니다. 끝까지 믿음의 싸움을 싸우길 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