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세 학자가 있습니다. 뤼스 이리가레(벨기에 출신), 줄리아 크리스테바(불가리아), 그리고 엘렌 식수(알제리)입니다. 글쓰기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 포스트 구조주의자들입니다. 특히 식수는 『메두사의 웃음』(1975)을 통해 여성적 글쓰기를 페미니즘 실천 전략으로 제시합니다. 그녀의 말을 들어볼까요? “메두사를 보기 위해서는 정면에서 그녀를 바라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메두사, 그녀는 치명적인 존재가 아니다. 그녀는 아름답다. 그리고 그녀는 웃고 있다.”
프로이트는 여성이 거세되었다는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페르세우스와 메두사의 신화를 선택합니다. 그의 논문 「메두사의 머리」에서 그는 몸부림치는 뱀으로 이루어진 머리카락이 달린 메두사의 머리는 거세된 여성 성기의 상징이라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여성은 남근이 거세되었기 때문에 공포를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남성이 여성에게 거세의 상상적 힘을 부여했기 때문에 여성을 공포스럽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닌가요?
이를 위해 식수는 해체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로고스중심주의’ 논의를 받아들여 거꾸로 뒤집습니다. 로고스중심주의가 남근중심주의를 낳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남근중심주의가 로고스중심주의를 낳는다는 것입니다. 식수가 보기에 남근중심주의는 ‘여성성’이라는 미지의 대륙에 대해 남성이 느끼는 두려움의 산물입니다. 따라서 『메두사의 웃음』에서 식수는 메두사의 얼굴을 보는 자를 모두 돌로 만드는 ‘메두사 신화’가 남성의 두려움을 보여준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두려움이 남근중심주의를 낳고 이 남근중심주의가 로고스중심주의를 낳는 것입니다.
결국, 이 로고스중심주의적 이분법을 깨뜨려야만 여성이 남성의 식민지 상태에서 해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식수는 여기에 라캉에게서 얻은 ‘상징계(언어로 이루어진 상징적 질서, 곧 우리가 사는 세계)’라는 통찰을 더 합니다. 결국, 로고스중심주의는 상징계의 언어 구조 안에서 작동합니다. 따라서 남근중심주의/로고스중심주의를 깨뜨리려면 상징질서, 언어 질서를 바꿔야 합니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여성적 글쓰기’입니다. 이러한 여성적 글쓰기는 남성적 언어 구조를 바꾸는 실천 전략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성적 글쓰기의 구체적인 모습은 무엇인가요? 식수가 보기에 여성적 글쓰기에는 남성적 글쓰기가 지탱해온 억압적인 질서를 해체하는 해방의 힘이 깃들어 있는 것입니다. 기존 전통과 다른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내는 글쓰기입니다. 자기 안에 있는 타자성, 곧 여성성을 발견하는 글쓰기입니다. 성서에 나오는 예언자들의 예언이 여성적 글쓰기라고 할 수 있겠죠? 따라서 이때 식수가 말하는 여성성과 남성성은 생물학적으로 규정된 성에 한정되지 않습니다. 여성적 글쓰기를 감행한 남성 작가로 식수는 셰익스피어를 거명하기도 합니다. “대가를 치르고서라도 전통과는 다른 것을 해낸 시인들이 있다. 사랑을 사랑할 수 있는 남성들, 그래서 타자들을 사랑하고 타자들을 원할 수 있었던 남성들이 바로 여성적 글쓰기를 실천한 남성들이다.”
셰익스피어의 글쓰기는 관습에 저항한 주인공들을 보여줍니다(물론, 이것을 욕망으로 볼 수 있겠지만). 이 남성들은 자기 안에서 타자 곧 여성성을 발견해 회복한 사람들입니다. 이렇게 보면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는 여성과 남성을 모두 인간으로 해방하는 실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우리 앞에 아름다운 메두사가 있습니다. 잃어버릴 것이 많은 이들은 메두사를 똑바로 보지 못합니다. 무수한 권력자, 남성들이 그렇습니다. 무언가가 너무 소중하면 그것을 잃을까 두려워 다른 것을 똑바로 ‘보지 않기/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성적 글쓰기를 감행하는 남성은 보기 싫은 것도 열심히 봅니다. 보기 거북하면 물러서서 보고 그리고 또 생각해야 합니다. 결국, 그것은 고대 세계의 위대한 어머니 여신이자 지혜의 여신인 메티스의 딸 메두사를 제대로 보는 것입니다. 돌이 될까 두렵나요? 아닙니다. 마음을 비우고 남근중심의 상징계를 벗어버리면 돌이 아니라, 참 지혜를 얻을 것입니다. 똑바로 보고 편견 없이 보고 제대로 보세요. 놀라운 세상이 열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