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인, 돈에 대한 인식 높아져
목회데이터연구소 조사결과
자본주의 시대에 돈은 어떤 대상과도 비교 불가한 특권적인 지위를 차지한다. 자본주의의 역사가 긴 만큼 돈을 숭배하는 물질만능주의, 즉 배금주의 문화가 전 시대적 현상이 된 지도 오래다. 교회와 성도는 이로부터 자유로울까?
목회데이터연구소에서는 ‘돈’을 주제로 하여 가정에서의 돈의 흐름 (가정 경제), 돈에 대한 국민과 개신교인의 인식 등의 데이터를 모았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리 국민 대다수(88%)가 ‘대부분의 일은 돈으로 해결할 수 있다’에 동의해 우리사회에 물질 만능주의적 가치관이 팽배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돈에 대한 걱정과 인식은 개신교인도 마찬가지였는데, 개신교인의 가장 큰 고민은 지난 10년 사이 ‘건강’에서 ‘돈’으로 바뀌었으며, 인생을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가정’은 줄고 ‘돈’은 증가했다.
개신교인의 고민거리, 지난 10년 사이 ‘건강’에서 ‘돈’으로 바뀌어!
• 이번에는 돈과 관련한 개신교인의 인식을 살펴본다. 요즘 가장 큰 고민이 무엇인지를 물은 결과, ‘경제적 어려움(32%)’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건강(27%)’, ‘자녀 문제(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고민거리에 대한 변화를 보면 10년 전인 2012년에는 ‘건강’이 가장 많았으나 2023년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많아졌으며 그 비율도 13%p나 높아졌다.
개신교인,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 ‘가정’ 줄고 ‘돈’ 늘어!
• 개신교인들에게 인생을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물었다. 2023년 기준 ‘건강(33%)’, ‘가정(18%)’, ‘신앙(17%)’ 등의 순으로 응답했는데 2017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돈’과 ‘건강’은 증가했지만 ‘가정’, ‘신앙’을 꼽은 비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돈 = 성공’,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 간 인식 차이 없어
• 돈이 곧 성공일까?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에게 돈과 성공에 대한 인식을 물은 결과, ‘우리 사회는 돈 있는 사람이 성공하는 사회이다’란 제시문에 ‘개신교인’ 90%, ‘비개신교인’ 92%가 동의해 두 그룹 모두 차이 없이 돈 있는자가 성공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