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보고, 시대의 정치현실을 보면 잘나고 똑똑한 사람들에게 질리게 된다. 성경을 보면 강한 자들이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겸손한 자들이 쓰임 받았다. 복 있는 사람은 거친 인생길에서도 사방팔방에서 돕는 자들이 나타난다. 만남의 복, 각양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처럼 위로부터 오는 것이 큰 복이고, 조그만 복은 사람이 오두방정을 떨어 챙길 뿐이다. 시편 기자는 나의 도움이 어디서 올꼬? 할 때 천지 지으신 하나님께로부터 도움이 온다고 하였다(시121:1~2).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이 바로 돕는 것이다.
최초에 가정을 만드실 때 돕는 배필을 지으셨다(창2:18). 건강한 사람이 아픈 사람을 도와주고 부자가 가난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다. 돕는다는 것은 굉장히 힘 있고 적극적인 개념이다. 주는 자가 복이 있고 섬기는 자가 큰 자이며 베푸는 자가 부자다. 예수님은 십자가 죽음을 앞둔 결정적인 순간에 “내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 뜻대로 하옵소서.” 라고 기도하셨다. 성령님은 내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할 때도 나를 위하여 탄식하시며 친히 간구하심으로 보혜사, 위로자, 중보자, 대언자, 상담자가 되시며 도우미역할을 자처하신다. 성령은 예수님을 높이지만 악령은 자기를 자랑한다. 교회 안에도 자기 의를 내세우며 자기 자랑에 빠져있는 자들이 많다.
다윗은 아들에게 배신을 당해 맨발로 야반도주하는 서글프고 비참한 상황에서, 자기를 저주하는 시므이에게는 눈도 깜짝하지 않았다. 하지만, 하나님의 이름을 모욕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는 골리앗을 향해서는 의분을 가지고 일어나 물맷돌로 쳐 죽였다. 갈렙은 성경에서 여호수아보다 먼저 언급되는 대단한 사람이었다. 출애굽노상에서 다 죽고 유일하게 살아남아 약속의 땅에 들어간 갈렙과 여호수아다. 얼마든지 누릴 수 있는 기득권, 특권, 대권은 여호수아에게 양보하고, 험한 산지를 달라고 자원하며 팔십대에 특공대로 선뜻 나섰다. 세례 요한의 인생주제가 ‘나는 쇠하고 그는 흥하리라’다. 잔치의 주인공이 아니라 신랑 되신 예수님을 소개하는 들러리의 기쁨으로 충만했다. 광야의 외치는 소리로, 너무나 단출하게 살며 그저 예수님이 오시는 길을 평탄케 하는 도우미 역할에 기뻐하니, 여자가 낳은 자 중에 가장 큰 자라 칭함을 받았다.
구약성경에서는 팔자 사나운 두 과부가 가문의 영광을 이루는 대목이 나온다. 당시에 태생적으로 아웃사이더였던 모압 여인 룻과, 객지에서 남편과 아들 둘을 다 잃고 쪽박을 찬 나오미가 예수님이 오시는 다윗의 왕가를 열었다. 며느리 룻은 이방 여인으로서 결단을 내리고, 시어머니의 하나님을 나의 하나님으로 모시는 신앙고백을 했다. 불편함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삭을 주워 먹는 거지같은 생활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믿음으로 나설 때, 주께서 유력한 자, 기업 무를 자, 회복자인 보아스를 붙여주셨다.
초대교회 최초의 선교사, 가장 성경적인 안디옥교회의 담임목사님이 바나바다. 자기가 스카웃해서 키운 부교역자가 적극적으로 사역하는 모습을 보고, 조용히 섬기며 바울이 주도하는 선교사역에 마중물이 되었다. 넉넉한 인품과 영성을 갖춘 바나바가 없이는 사도 바울도 없다. 이렇듯 성경의 역사는 똑똑한 자, 힘 센 사람, 일 잘하는 사람들이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세컨드 리더십, 조연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모세의 여호수아, 다윗의 솔로몬, 엘리야의 엘리사, 바울의 디모데, 이들은 조연으로 감칠맛 나는 삶을 살았다. 역사가 단절되거나 끊어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면서 두 사람이 원 팀을 이루는 팀 사역이 되었다. 지나온 역사를 계승했다. 화려한 장미꽃은 아니지만 장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작은 안개꽃 같은 존재였다. 부담을 지는 주인보다 단순한 종이 기쁘듯이, 장남보다 막내가 즐겁다. 하나님은 이 시대에도 잘난 사람들을 통해서 역사하시지 않는다. 평생에 주의 미천한 종이라 고백했던 다윗처럼, 자기 자리를 잘 감당하는 자세가 복되다. 세컨드 리더십과 돕는 자, 조연으로 만족하는 자가 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