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교회, 60대 이상 교인 89%!!
목회데이터연구소 조사 결과
지난해 말 발표된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의하면 2020년 우리나라는 이미 65세 이상 인구가 15.7%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오는 2025년이면 고령인구 비율 20.6% 로 초고령사회로 넘어갈 것이라 예측하였다. 또한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 자료에 따 르면 전국에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시∙군∙구는 2020년 기준 총 109곳으로 전국 시∙군∙ 구의 4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예장통합 영남지역 15개 노회에 대한 ‘농어촌 목회자 및 교회 실태 조사’ 자료가 발 표됐는데, 농어촌교회 교인 중 ‘60대 이상’ 고령층이 89%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정부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농어촌교회의 고령화가 생각보다 심각 한 수준이다.
고령화, 지방소멸, 디지털시대로의 급속한 변화 속에 농어촌교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시대 변화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다 판단하여, 비록 한 교단의 영남지역 농어촌교회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지만, 현 농어촌교회의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판단 하에 이 조사 결과와 작년 예장통합교단에서 실시한 코로나19 추적조사 결과 중 읍 면지역 데이터를 추출하여 목회데이터연구소에서 정리해 보았다.
농어촌교회, 절반이 50년 이상 된 교회!
‣ 농어촌교회의 절반(52%)이 설립된 지 50년 이상 되었으며, ‘10년 이내’라는 응답은 5%에 그쳤다. 대도시와 비교하면 읍면지역일수록 오랜 역사를 지닌 교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특징을 보였다.
‣ 농어촌교회 목회자 연령은 절반 가까이(46%)가 60대 이상이었으며, 40대 연령층은 11%에 지나지 않았다. 전국평균이 60대 이상 37%인 점을 보면, 농어촌교회 목회자가 상대적으로 고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어촌 목회자 절반 이상(54%), 월 사례비 150만 원 미만!
‣ 농어촌 목회자의 월 사례비는 절반 이상(54%)이 150만 원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례비가 아예 없거나 99만원 이하인 경우가 전체 농어촌 목회자의 39%나 되어 농어촌 목회자들의 열악한 경제적 형편을 보여 주고 있다.
‣ 반면 월 250만 원 이상 목회자는 16%에 불과해 5명 중 1명에도 미치지 못했다.
목회자 2명 중 1명꼴(47%) 생활비보다 적은 사례비 받고 있어!
‣ 목회자들의 생활비와 사례비를 교차 분석했을 때 ‘생활비보다 사례비가 적은 경우’는 전체의 47%를 차지했고, 생활비와 사례비가 비슷한 수준인 경우는 48%였다. 반면 사례비가 생활비보다 많다는 응답자는 5%에 그쳤다. 전체적으로 생활비에 비해 사례비가 더 적은 비율이 높았다.
‣ 외부로부터 생활비를 지원받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 중 56%였는데, 그 금액을 보면 30~59만 원 구간이 가장 많았고, 대체로 100만 원 미만(92%)을 지원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교회 절반은, 주일예배 평균 출석(성인 기준) 20명 이하!
‣ 주일예배 평균 출석 인원수(성인기준)를 보면 ‘20명 이하’인 교회가 절반(50%)이었고, ‘21~30명’ 26%, ‘50~99명’ 18%로 100명 미만이 대다수(94%)였다. 100명 이상이란 응답은 6%에 그쳤다.
농어촌교회 60대 이상 교인 89%!
‣ 농어촌교회 교인들의 연령층은 70대 이상이 6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60대(27%)이다. 40대 이하는 1%였는데, 이는 젊은이들이 농어촌교회에 없음을 실감하는 데이터이다. 전체적으로 60대 이상 고령층 이 농어촌교회 교인 10명 중 9명(89%)으로 농어촌교회의 고령화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농어촌교회 교인들의 주 직업군은 80%가 ‘농업’이라고 응답했는데, 농어촌교회 교인 5명 중 4명(80%)은 농업에 종사하는 셈이다.
코로나19 기간, 농어촌교회 절반 이상(58%)은 ‘주일 현장 예배만’ 드려!
‣ 코로나 기간 중 주일예배 운영 형태에 대해 읍면지역의 경우 58%는 ‘현장 예배만 드리고 온라인을 전혀 활용하지 않고’ 있었으며, ‘현장 예배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온라인 중계한다’는 응답은 31%였다.
‣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경우 ‘현장 예배만’ 드리는 비율이 각각 24%, 27%인 것과 비교하면 읍면지역의 현장 예배 비율이 2배 이상 높았다. 반면 현장예배와 함께 온라인예배를 동시 중계하는 경우 읍면지역이 31%로 대도시(64%)와 중소도시(61%)의 절반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교회 교회학교 현황, ‘주일예배 출석 학생 없다’ 42%에 달해!
‣ 농어촌교회 교회학교 출석 현황을 보면 아예 ‘없다‘는 경우가 42%나 되었고, 그것도 ‘10명 이하’경우가 44%로 나타났다. 고령화, 농어촌인구 감소, 저출산 등의 요인으로 농어촌교회 교회학교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농어촌 목회 힘든 이유, ‘경제적 이유’ 45%, ‘희망이 없어서’ 28%!
‣ 농어촌 목회가 힘든 이유에 대해서는 앞선 사례비 조사 결과에서 예측할 수 있듯이, ‘경제적 이유’가 45%로 가장 컸고, ‘희망이 없어서’가 28%로 그 뒤를 이었다.
‣ 10명 중 3명 정도의 농어촌교회 목회자가 목회에 대한 미래를 어둡게 보고 있었다.
‣ 이와 더불어 ‘현재 교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는 ‘교인감소’ 89%, ‘열악한 교회재정 6%’, ‘지역사회의 붕괴 3%’ 순으로 교인감소가 압도적으로 높아, 농어촌 지역의 인구감소 영향이 얼마나 큰가를 짐작케하고 있다.
농촌 목회자 4명 중 3명, ‘소명’ 때문에 ‘앞으로도 목회 계속하겠다’!
‣ 농어촌에서 목회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소명’이라고 답한 목회자가 75%를 차지하였고, ‘다른 임지가 없어서’ 18%로 나타났다.
‣ 앞으로도 현재의 농어촌 목회를 계속 하겠다는 응답은 72%로 나타났으며, 10명 중 3명은 다른 임지로 옮기거나 유보적인 태도를 취했다.
농어촌 지역 개신교인도 “한국교회가 이중직 목회자 지원해야” 78%!
‣ ‘한국교회가 이중직 목회자를 지원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농어촌지역 개신교인의 78%가 ‘지원 해야 한다’라고 답해 전국 평균(73%) 대비 5%p 높게 나타났다.
‣ 농어촌 목회자들의 현실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보는 성도들의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여서 눈여겨 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