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시원 장로를 비롯한 석대중, 양재한, 최종원 이사가 공동으로 국가권익위원회 신문고에 ‘이시원 이사가 임기가 유효한지 여부’에 대한 질의를 하였다. 권익위원회는 해당 관청인 교육부에 이첩했고, 최근 교육부는 여기에 대한 답변을 보내왔다. 이시원 장로에 따르면 “확약서가 자의에 의한 확약서일 경우 사표로 간주할 수 있지만, 타의에 의한 확약서일 경우 사표로 간주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해왔다. 결국 교육부 답변서는 사법부 판단에 맡겨라는 늬앙스로 해석된다.
또 일부 이사들은 “불의한 사람과 함께 할 수 없다”고 강경한 발언을 하고 있다. 강영안 이사장 체제가 공식 출범했지만, 이 매듭을 풀지 않고는 강 이사장 체제가 흔들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결자해지 차원에서 강 이사장이 당사자들을 만나 대화와 화해를 통해 풀어가야 한다. 이사장에 취임했다고 강공 드라이브를 한다면 과거 강규찬 이사장 당시처럼 이사회가 다시 혼란스러워지고, 교육부가 임시이사를 파송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 상황에서 임시이사가 파송되는 것은 사실상 고신대학교 미래는 불투명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강 이사장의 결단과 포용력이 가장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법원 가처분을 통해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고, 이사장이 된 상황에 대한 사과도 있어야 한다. 취임사 내용에 이 부분이 전혀 언급이 없다는 것이 아쉽다.
최근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다. 고려학원 이사회를 현 상황으로 만든 핵심적 인물은 법인 내 모 교단 인사로, 그가 개인적인 욕심 때문에 이번 상황을 기획했다는 말들이 교단 안에서 돌고 있다. 강 이사장을 세워놓고 차기 이사장에 특정 인물을 이미 내정해 두었으며, 차기 교단 사무총장 선거에 나갈 것이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이사장을 전면에 내세우고 뒤에서 자신이 모든 상황을 지휘한다는 소문이다. 물론 이 소문이 근거없는 소문으로 끝나길 바란다.
이사장 취임사 내용처럼 정의와 긍휼이 실현되고 겸손함으로 나아가는 이사회가 되길 기대한다.

ⓒ 한국기독신문 & 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