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0-04(금)
 
부산YMCA 한중일 포럼.jpg▲ 지난 27(목) 부산YMCA 백민홀에서 열린 '한중일 평화포럼'. 이날 중국 남경사범대 장롄홍 교수, 일본 역사교과서 네트쿠마모토 다나카 노부유키 국장이 참석했으며, 한국에서는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양미강 이사가 발제자로 나섰다.
 
‘생명평화의 물결, 꿈꾸는 부산’을 슬로건으로 내건 부산YMCA가 창립 71주년을 맞아 ‘한·중·일 평화포럼’을 개최했다.
지난 27일 오후 3시 부산YMCA 강당에서 열린 포럼은 중국 남경사범대 역사학부 장롄홍 교수와 일본 역사교과서 네트쿠마모토 다나카 노부유키 사무국장,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양미강 이사를 초청해 ‘역사의 매듭, 평화로운 한중일 미래를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역사교과서; 공동의 역사기억을 위한 역사교육의 역할’을 주제로 첫 발제에 나선 장롄홍 교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50년이 흐른 후에야 일본군의 성노예로 고통 받은 중국 위안부 피해여성들의 이야기가 주목받기 시작했다면서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 대한 진실 규명 과정은 중국 고유의 전통 문화의 영향으로 힘들고 더디게 진행됐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위안부 시설로 추정되는 중국 난징 리지샹 2호 ‘동원 위안소’에 위안부 기념관이 건립된 과정을 설명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70년이 지난 후에야 위안부 피해 여성들이 겪은 참혹한 고통과 역사를 알리는 난징 위안소 기념관이 2015년 12월 1일 대중에게 공식적으로 소개됐다”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이 시대의 슬픈 역사를 교육하는 데 있어 여전히 고되고 힘든 여정이 계속 될 것”이라며 중국 내 위안부 역사 교육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다나카 노부유키 국장은 ‘일본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역사수정주의에 저항하고 전쟁 책임과 전쟁 이후의 책임을 묻다’는 주제로 발표하면서 “일본 사회는 아베 정권에 의해 보도의 자유가 위협당하고 있으며, 역사수정주의가 정부의 공식견해로서 통용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나카 국장은 “역사수정주의는 교과서에서도 일본의 전쟁 범죄에 대한 기술을 거의 다 은폐시켜 버렸다”고 주장했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양미강 이사는 ‘일본 위안부 문제의 한일합의를 통해 본 정의, 기억 책임’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위안부 문제 합의에 대한 정부와 시민단체들 간의 엇갈린 평가를 지적했다. 양 이사는 “‘화해와 치유’ 재단 이름부터 정부와 시민사회의 시각차가 드러난다”며 “정부의 일방적인 화해 방식으로는 온전한 의미에서의 치유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양 이사는 일본 정부의 10억 기금 성격이 모호하다고 짚으면서 “위안부 합의로 정한 10억 엔의 의미를 우리 정부는 치유금으로 밝힌 반면, 일본은 거출금, 즉 출자금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12·28 합의 형식, 피해 당사자가 중심이 아니었던 점, 법적 책임과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 소녀상 철거를 둘러싼 양측 입장 등 6가지의 모호한 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양 이사는 “시민사회가 재협상을 요구하고 정치권에서는 전면 무효를 외치지만 현 정권에서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풀뿌리 차원에서 확산하고 기억을 이어가야 한다. 역사를 기억하기 위해 투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여성단체연합 정경숙 대표와 대학생겨레하나 김지희 대표자 토론자로 나섰다.
이날 포럼의 사회를 맡은 송진호 부산YMCA 사무총장은 “역사교육의 목적은 미래의 평화를 만들자는 것이다. 역사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출발점은 역사적 진실이며, 그 방식은 공통의 역사 인식과 대화라고 할 수 있다”말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부산YMCA ‘한중일 시민사회 평화포럼’ 개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