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제든 누구에게나 친절히 대하면
그에게는 반드시 좋은 일이 있게 돼
비바람이 몰아치는 늦은 밤에 어느 노부부가 미국 필라델피아 한 호텔을 찾았다. 그런데 주말이라 방이 없었다. 젊은 호텔직원이 여기저기 다른 호텔에 전화를 해봤지만 방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노부부는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흠뻑 비에 젖은 외투며 손에 든 여행용 가방이 더욱 무거워 보였다. 호텔직원은 노부부를 비바람이 몰아치는 바깥으로 내몰수는 없었다. “손님, 빈 객실이 없고 비도 오고 자정이 넘었으니 괜찮으시면 누추하지만 제 방이라도 쓰시겠습니까?” 호텔 직원은 기꺼이 자기 방을 손님에게 드리는 친절을 베풀었다. 노부부는 그 직원 덕분에 그날 밤을 편히 쉴 수 있었다. 다음 날 노부부는 젊은 직원에게 감사를 표했다. “청년은 참 친절한 분이군요. 일급호텔 사장이 되어도 되겠소” 직원은 “아닙니다. 저는 다만 저의 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어 방문하신다면 그때는 꼭 좋은 방을 드리겠습니다” 그랬다. 그로부터 2년 후 이 젊은 직원 앞으로 한 통의 우편물이 도착했다. 그 안에는 호텔개관식 초대장과 뉴욕행 왕복 비행기 표와 다음과 같은 편지가 들어 있었다. “나는 2년 전, 비바람이 몰아치던 늦은 밤 아내와 함께 젊은이의 방에서 자고 갔던 사람이요. 그때 베풀어준 당신의 친절을 잊을 수 없습니다. 여기 뉴욕에서 아주 크고 좋은 호텔을 지어 놓고 청년을 기다리고 있으니 부디 개관식에 참석하고 이 호텔을 맡아 경영해 주세요” 이런 내용이었다. 가서 호텔을 둘러보니 으리으리했다. 대충 둘러본 후 개관식장에 가서 보니 총지배인 자리에 ‘조지 볼트’라는 명패가 붙어 있었다. 순간 놀랐지만 나 외에도 같은 이름이 있겠지 하고 앉지 않았다. 그때 초대장을 보낸 노부부가 다가와서 “그 자리는 바로 당신의 자리입니다”하며 앉으라고 권했다. 그 노부부는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의 회장 부부였다. 이 청년은 “접시닦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하며 그 자리에 앉았다.
이 청년이 바로 1,900개의 객실을 갖춘 월도프 아스토리아 뉴욕 호텔의 사장이 된 조지 볼트(George Boldt)이다.
얼마나 흐뭇한 얘기인가. 조지 볼트는 친절을 베풀고 그의 인생이 달라졌다.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은 뉴욕뿐만 아니라 각 휴양지에도 체인점을 두고 있다. 호텔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뉴욕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은 안다.
여기에서 우리가 얻은 교훈이 무엇인가. 우리는 언제든 누구에게나 친절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 아니겠는가. 성경에도 보면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라’고 교훈하고 있다.(엡 4:32)
독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한지요. 함께 생각해 봅시다.
그에게는 반드시 좋은 일이 있게 돼
비바람이 몰아치는 늦은 밤에 어느 노부부가 미국 필라델피아 한 호텔을 찾았다. 그런데 주말이라 방이 없었다. 젊은 호텔직원이 여기저기 다른 호텔에 전화를 해봤지만 방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노부부는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흠뻑 비에 젖은 외투며 손에 든 여행용 가방이 더욱 무거워 보였다. 호텔직원은 노부부를 비바람이 몰아치는 바깥으로 내몰수는 없었다. “손님, 빈 객실이 없고 비도 오고 자정이 넘었으니 괜찮으시면 누추하지만 제 방이라도 쓰시겠습니까?” 호텔 직원은 기꺼이 자기 방을 손님에게 드리는 친절을 베풀었다. 노부부는 그 직원 덕분에 그날 밤을 편히 쉴 수 있었다. 다음 날 노부부는 젊은 직원에게 감사를 표했다. “청년은 참 친절한 분이군요. 일급호텔 사장이 되어도 되겠소” 직원은 “아닙니다. 저는 다만 저의 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어 방문하신다면 그때는 꼭 좋은 방을 드리겠습니다” 그랬다. 그로부터 2년 후 이 젊은 직원 앞으로 한 통의 우편물이 도착했다. 그 안에는 호텔개관식 초대장과 뉴욕행 왕복 비행기 표와 다음과 같은 편지가 들어 있었다. “나는 2년 전, 비바람이 몰아치던 늦은 밤 아내와 함께 젊은이의 방에서 자고 갔던 사람이요. 그때 베풀어준 당신의 친절을 잊을 수 없습니다. 여기 뉴욕에서 아주 크고 좋은 호텔을 지어 놓고 청년을 기다리고 있으니 부디 개관식에 참석하고 이 호텔을 맡아 경영해 주세요” 이런 내용이었다. 가서 호텔을 둘러보니 으리으리했다. 대충 둘러본 후 개관식장에 가서 보니 총지배인 자리에 ‘조지 볼트’라는 명패가 붙어 있었다. 순간 놀랐지만 나 외에도 같은 이름이 있겠지 하고 앉지 않았다. 그때 초대장을 보낸 노부부가 다가와서 “그 자리는 바로 당신의 자리입니다”하며 앉으라고 권했다. 그 노부부는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의 회장 부부였다. 이 청년은 “접시닦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하며 그 자리에 앉았다.
이 청년이 바로 1,900개의 객실을 갖춘 월도프 아스토리아 뉴욕 호텔의 사장이 된 조지 볼트(George Boldt)이다.
얼마나 흐뭇한 얘기인가. 조지 볼트는 친절을 베풀고 그의 인생이 달라졌다.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은 뉴욕뿐만 아니라 각 휴양지에도 체인점을 두고 있다. 호텔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뉴욕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은 안다.
여기에서 우리가 얻은 교훈이 무엇인가. 우리는 언제든 누구에게나 친절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 아니겠는가. 성경에도 보면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라’고 교훈하고 있다.(엡 4:32)
독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한지요. 함께 생각해 봅시다.

ⓒ 한국기독신문 & 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