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미국 대통령선거전 관련 이야기가 화제입니다. 그런데 외신을 통해 아주 흥미로운 보도 하나가 전해졌지요. “심슨 가족의 예언”이라는 촌평입니다. 22일(현지) 미국 CNN과 CBS 방송은 최근 온라인에서 24년 전 방영된 심슨 가족(현재까지도 계속하고 있는 최상수 TV 시트콤 애니메이션)의 한 에피소드 내용을 현재 상황과 비교하며 작성한 글이 퍼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회차는 극중 주인공 이름을 따서 “바트 투 더 퓨처(Bart to the future)”(1985년 마이클 J. 폭스 주연의 영화 ‘백 투 더 퓨처(Back to the Future)’의 패러디)라고 제목을 붙였는데, 심슨 가족의 자녀 중 한 명인 리사 심슨이 성장해서 2030년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에 도전한다는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바이든이 사퇴하면서 여성 부통령인 해리스가 미국 민주당 대통령후보로 급부상하는 사건이 일어나 버린 것입니다. 이 일이 사람들 주목을 끌게 된 이유가 있습니다. 이 만화는 비슷한 시기에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는 당시로서는 황당무계한 이야기를 내보냈는데, 2016년 실제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습니다. 만화 속에서도 그 다음에 리사 심슨이 등장하는데, 이번에 트럼프의 대항마로 여성이 최초의 대통령 후보자가 되기 직전이니,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 너무나 신기해서 사람들이 예언 아니냐고들 그럽니다.
전체적인 줄거리만이 아니라 세부적인 묘사까지 예언이라 해도 믿을 만큼 일치했는데, 2017년 트럼프가 대통령에 취임할 때 장면은 놀랍게도 17년 전 만화 속 모습과 너무나 흡사해서 경악에 가까운 반응을 일으켰더랬습니다. 그리고 데자뷰(déjà-vu) 같은 사건이 이번에 또 다시 벌어진 건데, 급부상한 해리스 부통령 사진이 온 세상에 퍼지지 않았겠습니까, 그런데 그 모습이 또한 이십 여 년 전 리사 심슨과 너무나 비슷합니다. 해리스도 심슨도 똑같이 보라색 자켓을 입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게다가 둘 다 귀에는 진주귀걸이를, 목에는 진주목걸이를 장신구로 착용했는데, 마치 해리스가 만화 속 주인공을 모델로 했다 여길 정도로 똑같습니다. 하지만 그 정도로 예언 운운 하지는 않겠지요. 2012년의 심슨 가족 판에서는 가수 레이디 가가가 공중을 날아다니며 공연하는 장면을 실었었는데, 2017년 슈퍼볼 하프타임 공연에서 가가는 만화 그대로를 재현하고 말았습니다. 만화가 공연이 되고 공상이 현실이 되는, 두고두고 회자되는 사건이었습니다. 더 놀라운 점은 이미 1990년대에 지금은 상용화된 휴대전화나 가상현실 같은 류(類)를 벌써 예측하여 그렸다는 사실입니다. CNN은 “심슨 가족이 현대판 노스트라다무스로 찬사를 받고 있다”며, “복권 번호를 알려달라고 해야 할 판”이라는 우스갯소리 같은 논평을 남겼습니다.
심슨 가족만 예언자로 일컬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월드컵 문어를 아십니까? “파울”이라는 이름을 가진 독일의 문어 한 마리가 UEFA 유로 2008과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의 승패 여부를 높은 확률로 맞춰 일약 유명해져서 죽을 때까지 점쟁이 문어, 족집게 문어 등의 별명을 갖고 유명세를 떨치며 살았습니다. 문어가 그럴진대 사람은 어떻겠습니까? 유튜브를 보면 현재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자칭 예언가들이 수두룩합니다. 그 중에는 잘 알려진 노스트라다무스로부터 한국의 탄허 스님 그리고 9.11테러부터 오바마 당선과 코로나 창궐까지를 정확하게 맞추었다는 바바 반가, 역시 코로나 등 사건을 정확하게 예언했다는 인도의 소년 예언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언가들이 갑자기 많이 등장했다기보다는, 사람들이 그만큼 예언과 같은 이야기에 솔깃한 세상이 되었다고 보는 편이 낫겠습니다. 하기야 손에 왕(王)자를 새기게 하고 당신이 대통령이 될 거라고 했다는데 그대로 이루어지는 바람에 일약 스타가 되어 나아가 정치계까지 일정 부분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알려진 무슨 스승이나 법사 같은 이들이 있다지요? 점술가는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스스로 존립할 수 없는 존재들입니다. 각종 점쟁이와 자칭 예언가들이 판을 치는 세상이라면, 사람들이 그만큼 미신과 무속과 풍수와 도참에 빠져있다는 증거가 아니겠습니까?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조차 이러한 풍조에 휩쓸리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이 몹시 슬픕니다. 성경적 관점에 설 때 기독교인들은 특히 예언이라고 하는 개념에 현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고백하는 정통적인 교리에서 이르는 바와 같이 이미 구원에 관한 예언은 다 이루어졌고(충분함), 앞날을 내다보는 예언은 그렇게 큰 실익도 없다(무익함)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분별해내기가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월터 모벌리는 『예언과 분별』에서 그 동안 예언의 주장과는 달리 예언의 분별에 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보았습니다. 전문가들조차 논의하지 않는데 어떻게 일반인 신자들이 분별할 수 있겠습니까? 더군다나 그 예언이 미래의 종말이나 새로운 세상에 관한 즉 묵시(黙示)에 해당한다면 한층 더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최근 스티븐 쿡은 『예언과 묵시』에서 묵시에 관한 새롭게 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묵시에 관해서 지나치게 영적으로만 해석하거나 박탈 이론으로써만 이해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우리 사회도 한층 더 성숙한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손바닥 글자나 무덤을 이장하거나 예언이라는 말에 의지하여 인생을 변화시키려는 작태를 그만두어야 할 때입니다. 헛된 예언이 아니라 참된 계시의 말씀을 받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그 일에 나서야 하지 않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