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홍석진 목사.jpg

 어느 날 일면식 없었던 분이 보내신 저서를 한 권 받았습니다. “욥이 물었다, 내게 왜 이러세요? 강정훈 지음.” 신앙 유무를 불문하고 고난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욥, 과연 저자 역시 신학생 시절부터 만나 동고동락했던 아내를 암으로 먼저 떠나보낸 후 기나 긴 아픔의 시간을 겪어야 했더군요. 고통의 승화를 논할 수 있겠으나, 사실은 고통으로 말미암아 인간이 느끼는 첫 번째 감정이 고스란히 책의 제목에 녹아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부쩍 각광 받는 ‘죽음학(Thanatology)’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1926-2004)는 말기 암 환자 육백 명을 관찰한 뒤 사람들이 고통의 시간을 보내면서 변화되는 다섯 단계가 있다고 보고했는데, 첫 단계가 ‘부정(否定)’으로 ‘내게 이런 일이 일어나다니 말도 안 돼!’라면 그 다음이 바로 ‘분노’ 곧 ‘도대체 나에게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였다고 합니다. 이어지는 ‘타협’과 ‘우울’과 ‘수용’의 단계보다 훨씬 더 솔직하고 원초적인 반응이 초기 두 단계에 압축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한 양심으로 살아왔거나 특히 독실한 신앙을 견지하며 살아온 인생이라면 오히려 더 그럴 수 있습니다. 유대인 랍비이기도 한 해롤드 쿠쉬너(Harold S. Kushner)가 아들을 14년 만에 잃고 스스로 상처 입은 종교인임을 자처하면서 쓴 『왜 착한 사람에게 나쁜 일이 일어날까』를 보십시오. 이러한 문제를 신학적으로 규명해보려 애썼던 옥스퍼드의 루이스(C. S. Louis, 1898-1963) 교수 또한 먼저 심대한 아픔을 경험해야 했습니다. 일평생 단 한 번 사랑했던 여인을 잃고 그가 남긴 글(A Grief Observed)에 이런 대목이 등장합니다. “주여, 이것이 당신의 진짜 조건입니까? 제가 당신을 너무 사랑하여 그녀를 만나든 만나지 못하든 괘념치 않을 때에만 H를 만날 수 있는 것입니까?” 여기서 “H”는 그의 아내를 상징합니다. 아내가 세상을 떠나서 이토록 고통스러운데 도대체 하나님은 어디 계신가, 분노와 원망 섞인 감정이 그대로 드러나 있지 않습니까? 그러나 우리는 분명히 기억해야 합니다. 고통이 이들을 쓰러뜨리지는 못했다는 사실입니다. 고통은 결코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없습니다.

 

 끝을 알지 못하겠는 감염 사태 속에서 최근 두 분이 세상을 떠나셨다는 소식을 뒤늦게 알게 되었습니다. 한 분은『안식』의 저자인 마르바 던(Marva J. Dawn, 1948-2021)입니다. 그녀는 걸어 다니는 종합병원이라 불러도 좋을 정도로 암에서 장애까지 인간의 연약한 굴레들을 온 몸으로 짊어지고 살아오신 분입니다. 살아있는 동안 고통의 극치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이 분을 보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결코 고통에 굴복하지 아니하고, 숭고한 인내와 견고한 믿음이 어떠한가를 직접 보여주셨습니다. 또 한 분은 차동엽 신부입니다. 서울공대를 졸업한 수재로 학식과 강연이 대단한 분이셨지요. 장차 한국의 추기경이 될 수도 있었던 인물인데 겨우 60대 초반에 생을 마감했으니 안타깝습니다. 대중적으로도 인기가 많았던 그는 『믿음 희망 사랑』에서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마지막 1초까지 우리의 삼색 촛불은 타고 있어야 한다!” 흔들릴지언정 꺼지지는 않는, 고통 속에 더 아름답게 타오르는, 그런 믿음과 소망의 촛불이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서도 은은하게 타오르기를 바랍니다.

 이렇게 고통의 문제를 다시 논하는 까닭은 이런저런 일들로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고통에는 상대적인 무게가 아니라 절대적인 질량만 존재합니다. 각자가 처한 상황에서 느끼는 고통이야말로 우주제일입니다. 극복하기는커녕 위로하기에도 벅찬 것이 또한 고통입니다. “아내가 떠난 이십 수년 동안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아내의 죽음을 빙자해서 청중들에게 눈물을 유도하여 은혜를 짜내는 설교가 될까봐 말을 아꼈다.. 이제는 입을 열고 싶다.. 이 책은 간증집이 아니다. 비극적인 상황에서 세월이 오래 흘러가지만 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아직도 많이 아프세요? 이렇게 생각해 보면 조금은 낫지 않을까요?’ 하는 조심스런 목소리다. 아픈 사람에게는 아픈 사람, 아팠던 사람의 말이 위로가 된다. 동병상련이다.”(강정훈, 9) 그 말이 나에게는 적잖이 위로가 되었습니다. 루이스와 던 그리고 차 신부 또한 훌륭한 위로자가 되어 주었습니다. 이 글 역시 고통 중에 있는 누군가에게 작은 위로가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시사칼럼] 고통의 문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