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noname01.jpg
기독교적 정의를 말한다
반쪽짜리 그리스도인은 가라! 저자는 하나님의 주권은 온 우주에 편만하다고 믿는 철저한 개혁주의자이다. 한국교회의 위기를 신앙과 삶이 괴리된 이분법적인 사고에 있다며, 신앙과 삶을 일치시키는 교회 울타리를 넘어선 통전적인 신앙과 실천을 강조한다. 윤리신학을 전공한 신학자답게 설교 30편이 수록된 이 책은 1부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선 신앙 제2부 하나님나라와 세상나라 제3부 세상의 소망인 교회 제4부 정의와 공의 제5부 맘몬과 환경, 평화와 통일로 다양하고 균형 있게 구성되어있다. 눈에 띄는 것은 한, 두 달에 한 번씩 평화, 정의, 경제, 통일, 다문화 등의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저자의 영적, 지적인 통찰력이다. 교회에만 머물고 있는 반쪽짜리 소시민적 그리스도인에게 일독을 권한다.

||  저자 최현범 목사는 중견교회인 부산중앙교회에서 16년째 목회 중인 목회자이다. 서울대와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에서 수학하고, 사랑의 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하다 독일로 유학하여 보쿰대학교에서 조직신학과 기독교윤리로 신학박사(Th.D) 학위를 취득했다. 도르트문트제일교회를 담임하기도 했으며, 학위논문이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그의 관심은 교회와 일상의 삶이 분리된 이원론적 신앙을 극복하여 온전한 크리스천으로 세상을 변혁하는 일이다. 부산기윤실의 공동대표와 극동방송 시사칼럼 등의 사회적 활동에도 열심이다. 나침반, 2019. 13,000원.

◇ 같이 읽으면 좋은 책
  《함께 살아가는 마을과 교회》 정재영 지음 / SFC 
  《복음의 공공성》 김근주 지음 / 비아토르


▌좌담: 김길구 전 부산YMCA 사무총장, 김현호 기쁨의집 대표, 김형기 팔복교회 목사
noname011.jpg
 

통전적인 신학으로 프레임 전환 필요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져야 한다. - 이 칼빈의 가르침이야말로 선교 역사 한 세기를 넘긴 한국교회가 담아야할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이분법적이고 이원론적인 신학에서 벗어나 통전적인 신학으로의 프레임의 변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김길구 이번 모임은 최현범 목사님을 모시고 최근에 출간된 설교집 《교회 울타리를 넘어서》에 대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저는 존스토트 목사님의 유작 《제자도》를 읽는 기분이었습니다. 균형 잡힌 그리스도인의 매뉴얼 같은…저희도 설교집은 처음인데 목사님께서 굳이 설교집 형태로 내신 이유는?
최현범 가볍지 않은 주제들인데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평소에 익숙한 설교집으로 출간했습니다. 설교는 우선 쉬워야 하니까요.
김형기 그게 어느 정도 성공한 것 같아요. 저도 설교자인데 이 설교집은 어려운 주제를 쉬우면서도 깊이 있게 영적, 지적, 정서적 필요를 다 아우르고 있어 매우 유익했습니다.
김현호 저는 특히 4,5부의 정의와 공의, 맘몬과 환경, 평화와 통일 같은 평소 쉽게 접할 수 없는 주제들을 다루고 있어 큰 도전이 되었습니다.
김길구 이 책을 쓴 동기일수 있는데 목사님은 머리말에서 ‘한국교회는 프레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고 하셨습니다. 이유는?
최현범 위기 때문이죠. 과거에는 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교인들과 부딪히는 과정에서 생겼다면, 최근에는 재정, 세습, 성적일탈 및 수구적인 정치행태 등 공적인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젊은이들의 이탈이 심각해요. 사회적 영향력도 예전만 못하고.
김현호 목사님은 그 이유를 세상과 교회를 나누는 이원론적 신앙에서 찾으셨는데‥
최현범 100년 전 얘기입니다만 3.1운동을 보세요. 교인이 국민의 1%에 불과했지만 나라의 큰 희망이었지요. 지금은 덩치만 커졌지 그렇지 못합니다. 한국초기의 교회는 영적인 부흥성장뿐 아니라 신분타파, 여성운동, 인권존중 등 당면한 사회의 문제를 끌어안고 민족의 현실과 유리되지 않은 채 사회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했습니다.
김형기 활화산처럼 분출했던 3.1운동이 일제의 총칼 앞에 좌절되자 그 공허한 마음을 이용도 목사 같은 분들의 신비주의적 신앙이 자리를 잡게 되고, 현실에 눈감은 내세지향적인 신앙으로 흐르게 되면서 사회성을 상실한 채 신앙이 개별화, 내면화 되고 말았어요.

‘생각하지 않는 죄’
최현범 종교개혁 이후 유럽의 기독교 전통에는 세상과 교회의 관계에 대한 2가지 견해가 있어요. 전 우주적인 그리스도의 통치를 바탕으로 세상나라와 하나님나라를 분리하지 않은 칼빈의 <그리스도 주권설>과 정교분리를 주장한 루터의 <두 왕국설>이지요. 물론 루터는 세속권력을 끌어들여 무력을 행사하는 로마가톨릭교회나 정부로부터의 간섭을 피해 교회를 보호하려는 의도였지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정교분리는 나중에 히틀러의 나치주의를 교회가 용인함으로써 유대인 학살과 제2차 세계대전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평가도 듣게 됩니다.
김현호 1974년 WCC에 대항해서 복음주의권이 스위스 로잔에 모여서 사회참여를 통한 정의, 평화문제 등에 그리스도인의 사회참여를 선언했는데‥
최현범 그때 한국교회는 1972년 유신정권의 출현으로 사회분위기가 사회참여라는 말조차 꺼내기 힘들었던 엄혹한 시절이라 엄두를 못 냈지요.
김형기 1961년 독일 SS친위대장 히믈로의 오른팔이었던 ‘아이히만’이 600만 유대인 학살의 주범으로 사형 당하는 세기의 재판을 참관하곤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를 쓴 한나 아렌트의 예화를 드셨는데, 그런 세기의 학살자도 우리처럼 가족을 사랑하고, 직장에서는 무슨 일이든 시키는 대로 성실히 일하고, 교회생활도 잘하는 그저 평범한 이웃아저씨에 불과했다는 충격적인 예화가 가슴에 와 닿습니다.
최현범 그런 평범한 사람이 왜 세기의 엽기적인 괴물이 되었을까요? 한나 아렌트는 그의 죄목을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생각하지 않는 죄’”라고 했습니다. 우리도 그렇습니다. 교회 안에서는 거룩한 성도인데, 교회의 울타리만 넘으면 하나님과 무관한 삶을 살아요. 세상은 하나님이 아닌 마귀가 득세하는 죄악된 곳이니 세상의 원리에 타협하며 ‘이중윤리’로 사는 겁니다. 사회가 부패하니 정직하게 살다간 손해를 본다는 피해의식 때문이죠. 그러니 그리스도인과 세상사람을 구별할 수 없어요. 도리어 세상의 왜곡된 문화만 교회 안으로 들어와 더 혼탁해지죠.

동성애, 낙태 반대 등 개인윤리에 머물러
김현호 목사님은 현재의 개신교가 번영신학이나 기복신앙 등 영광신학에 물들어 있다고 하셨는데‥
최현범 원래 이 말은 루터가 복음을 왜곡하여 면죄부를 파는 부패한 가톨릭의 신학을 영광의 신학, 그리고 교회갱신을 위해 고난을 받는 자신의 신학을 십자가 신학이라고 했는데 참 아이러니 한 것은 개혁을 앞세우며 시작한 개신교가 500년이 지난 오늘날 개혁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는 개신교가 하나님 나라와 그 의를 위한 고난이 아닌 돈과 권력을 얻으려 하면서 일어난 일입니다. 그리스도를 위해서 고난 받으며, 헌신과 섬김으로 세상에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은 십자가의 신학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김길구 한국의 교회는 그동안 정치적으로 무관심하다 최근에 일부가 정치화하는 경향이 있어요.
최현범 3.1운동이후 대부분의 한국교회는 정교분리에 충실하여 정치적인 분야에서는 무관심과 중립으로 일관하다 노무현 정권에 이르러 자기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어요. 기독NGO를 조직하고 반정부집회를 열고, 설교대에서 목사가 정치적 발언도 해요. 한국교회의 정교분리는 사실상 폐기되었습니다. 다만 동성애, 낙태 반대 같은 개인윤리에 머물러 우리사회가 당면한 부의 불평등 등 사회구조적인 면에 소극적이란 점은 생각해 봐야죠.
김현호 기독교윤리적 측면에서 이런 현상을 어떻게 봐야할까요?
최현범 이 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만드는 것이 과연 신앙인들이 해야 할 일일까요? 저는 대학생 시절에 이런 고민 없이 살았어요. 온 나라가 민주화운동으로 떠들썩해도 이원론적 신앙에 갇혀 세상과 교회를 철저히 구분했지요. 오랜 시간이 지나고 목사가 되겠다고 총신대 신학대학원에 입학하니 군부독재가 저항에 굴복한 6.29 선언을 즈음하여 신학생들과 함께 저도 데모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학교는 물론 저에게도 놀라운 경험이었죠. 그후 이 문제를 깊이 고민했습니다. 유학을 결심하고 학위논문도 국가와 교회와의 관계에 대한 것을 썼지요. 그래서 얻은 결론은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일 뿐 아니라 세상의 주님이시다’ 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한손엔 성경을, 또 한손엔 신문을 들어야 합니다. 세상에서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통치가 더 확장되도록, 우리사회가 보다 정의롭고, 자유와 평등의 가치가 실현되어야합니다.
정의를 묻는다
김길구 본문 중 ‘한국교회는 너무 오랫동안 성경 속의 정의를 가르치지 않았다’는 말이 인상적인데요? 수년전 마이클 샌들은 하버드대학 강의록 ‘정의란 무엇인가?’를 통하여 한국의 ‘정의론’에 불을 지폈는데 이 책이 미국에서는 10만부 정도 팔린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100만부가 넘는 장기베스트셀러가 되었어요. 그 이유를 ‘한국사회는 정의롭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서’라고 분석했는데‥ 과연 ‘기독교적 정의’는 무엇입니까?
최현범 우리사회의 문제는 ‘공의의 부재’와 ‘정의의 실종’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성경에 수없이 등장하는 공의와 정의를 내가 용서받고 의롭게 되는 ‘칭의’로 바꾸는 경향이 있어요. 복음을 단순히 ‘어떻게 하면 내가 구원받을 수 있는가?’라는 틀 속에 가둬버립니다. 평화라는 말도 마음의 평안으로 해석하고, 가난도 마음의 가난으로 이해하려고 해요. 그러다보니 평화와 빈곤의 문제를 우리와 무관한 일로 생각합니다. 이처럼 성경의 중요한 말씀들을 개인구원과 내면의 문제로 바꾸면 본래의 의미를 잃게 되겠죠. 성경이 말하는 정의는 비교적 명료합니다. 우선 공정한 재판입니다. 국가는 선과 악을 제대로 분별하여,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악은 벌주고, 선은 상주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빈곤의 문제를 치유하라는 것입니다. 사회적 약자를 돌봐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만들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peacemaker로서 평화를 추구하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이곳이 공정한 사회이며 기독교적 정의가 실현되고 있는지 반문해야 합니다. 주님의 통치가 세상 속에서 이루어지도록…
김길구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호에는 김형국 목사의 《하나님나라의 도전》이란 주제로 얘기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리 : 김길구〕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복음 위에서 교회 밖을 보는 안목 길러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