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홍석진 목사.jpg
이른바 <국정농단청문회>가 끝났습니다. ‘농단(壟斷)’이란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니 “이익과 권력을 교묘한 수단으로 독점함”이라는 뜻을 가졌습니다. 본래 『맹자(孟子)』에 나오는 말이라고 합니다. “옛날에 시장에서 하는 일은 자기가 가진 것으로 가지지 못한 것을 바꾸는 것이었고, 관리하는 사람은 다만 그것을 살필 뿐이었다. 그런데 천한 사람이 나타나 우뚝 높은 언덕(롱, 壟)에 올라가 좌우를 살펴보고는 시장의 이익을 그물질해 버렸다. 사람들은 모두 이를 천하게 여겼다.”(맹자 공손추하(公孫丑下) 편) 그런데 이번 청문회를 보니 농단이라는 말도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기억상실청문회’ 혹은 ‘거짓말청문회’라는 이름을 붙여야 하지 않을까요?
  허버트 마르쿠제(Herbert Marcuse)는 망각이란 복종과 포기를 지속시키는 정신능력이라고 했습니다.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그런 기억이 없습니다.” 일관하는 청문회 증인들을 보면서 떠오른 문장입니다. 공부도 많이 하고 경험도 풍부한 분들인데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일종의 집단기억상실증에 빠지게 했을까요? 독일 신학자 얀 아스만(Jan Assmann)는 말했습니다. “전체주의는 망각과 결탁한다.” 혹시 항거할 수 없는 거대한 집단의 힘이나 구조적인 압력이라도 있었던 걸까요? 청문회 현장에 선 의도적인 혹은 무의식적인 기억상실증에 걸린 사람들을 보면서 조지 산타야나(George Santayana)가 남겼다는 명언이 새삼스럽게 다시 떠올랐습니다. “과거를 망각하는 자는 그것을 반복하도록 심판 받을 것이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이번 청문회를 보면서 묘한 기시감(dejavu)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청문회 현장에서 자신이 발언했던 앞 뒷말이 모순되어서 거짓말을 하고 있음이 바로 탄로 난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장에는 교묘한 말로 진실과 거짓을 분간하기 어렵게 만든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그래도 진리는 반드시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 성경도 등불을 다 숨길 수 어렵고 감춰진 것은 반드시 알려지고 나타나기 마련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엠마누엘 카레르(Emmanuel Carrere)라는 작가가 실화를 바탕으로 쓴 『적』이라는 글이 있습니다. 주인공 장클로드 로망은 의대에 입학한 지 2년 후 예과 시험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부모에게는 시험을 잘 치렀으며 본과로 넘어가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그 이후로 15년을 이어지는 거짓말의 시작이었습니다. 결혼을 하고 자녀를 갖지만 계속해서 거짓 인생을 살아갑니다. 그리고 결국 모든 것이 드러날 위기에 처하자 가족을 죽이고 비참한 파국을 자초하고 만다는 내용입니다. 스위스 출신의 페터 비에리(Peter Bieri)는 거짓말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존엄성과 타인의 존엄성을 해치는 행위라고 평했습니다.
  이번에 증인이나 참고인으로 등장했던 사람들 중에는 모르기는 해도 그리스도인들도 여럿 있었을 것입니다. 신자는 정직해야 한다는 성경 구절을 모를 리가 없는 분들입니다. 아마도 개인적으로는 자성하며 지금쯤은 회개의 눈물을 흘리고 있을 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러나 더욱 안타까운 것은 대부분이 사람들이 가짜 기억을 만들어내고 거짓말하는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대하고 있는 이 사회의 정서와 풍조입니다. 정직은 성경의 가치만은 아닙니다. 정직은 어떤 사회든 자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인류의 자산입니다. 기억도 마찬가지입니다. 정확한 사실에 기초한 정확한 기억은 역사를 발전시켜가는 도구입니다. 왜곡된 기억과 굴절된 거짓이 난무하는 사회는 반드시 퇴행과 갈등의 역사를 반복하게 되어 있습니다. 정유년입니다. 멀리서 새벽을 깨우는 닭울음소리가 들려옵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시사칼럼] 기억과 거짓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